Sustainability at Pan Ocean
팬오션은 GRI 가이드라인에 따라 회사가 환경, 사회, 사람, 경제에 미치는 영향(Impact)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Risk)과 기회(Opportunity)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분석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2024년에 도출한 이슈 풀(Issue pool)을 바탕으로 실무 부서 워크숍, 경쟁사의 중대성 주제 벤치마킹, 국제해사기구(IMO)의 최신 규제 동향 등을 반영하여 2025년 중대성 주제 이슈 풀을 업데이트하였고 지난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보고한 중대성 주제 4개에 대한 영향 및 기회와 위기 분석을 현 시점에 맞게 다시 한 번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24년 보고서에 공개한 4개의 중대성 주제를 유지하되 ‘안전보건 관리 강화’ 는 ‘해상 안전보건 관리 강화’로 리스크 발생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집중하고 ‘윤리·준법경영 확립’은 ‘윤리·준법경영 강화’로 회사의 실천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중대성 평가 과정은 2025년 5월 <제2차 ESG위원회>에서 결의된 후 <제3차 이사회>에 보고되었습니다.
중대성 주제 도출 프로세스
STEP 1. 지속가능성/ESG 이슈 풀 구성: 31개 이슈 도출
팬오션이 속한 해운산업의 지속가능성, ESG 이슈 중에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슈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빈도 분석을 통해 31개 이슈를 선정하여 이슈 풀을 구성하였습니다.
이슈 풀 구성 기반 자료- 국제기구 지속가능성/ESG 협약
- IMO, UN, OECD, ILO 등
- 지속가능성/ESG 글로벌 가이드라인
- GRI, EU ESRS, IFRS ISSB, TCFD, TNFD 등
- ESG 평가지표
- MSCI, DJSI, KCGS 등
- 해운 글로벌 리딩 기업 중대성 주제
- MSC, Maersk, CMA CGM, COSCO Shipping, Star Bulk Carriers Corp. 등

E 환경 10개 |
|
S 사회 11개 |
|
G 거버넌스 8개 |
|
기타 2개 |
|
* 2024년 하반기 IMO 최신 규제 사안 및 산업 내 타 기업의 최신 중대성 주제 검토하여 이슈 풀 업데이트

STEP 2. 이해관계자 관심도 확인: 설문조사
팬오션과 포스에스엠 직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 127명과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NGO, 정부/유관기관, 언론기관, ESG 평가기관, 컨설팅/자문기관, 주주/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31개 이슈의 관심도를 확인하였습니다. 설문 결과 총 9개의 이슈가 이해관계자의 주요 관심 이슈로 파악되었습니다.
E 환경 4개 |
|
S 사회 4개 |
|
G 거버넌스 1개 |
|
* 2024년 하반기 고객 및 투자기관 요구사항 등 외부 이해관계자 검토하여 관심도에 반영

STEP 3. 영향 및 기회 & 위기 분석
팬오션과 포스에스엠 실무 부서 직원들이 참여하여 비즈니스 가치사슬을 도면화하고 지속가능성 이슈 풀과 이해관계자 관심도 설문에서 파악된 지속가능성 이슈들을 가치사슬 각 단계에 적용하여 팬오션과 포스에스엠 경영 활동에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 위험과 기회의 실제성과 중요도를 분석하였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총 4개의 이슈가 지속가능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파악되었습니다.
E |
|
S |
|
G |
|

STEP 4. 경영진, 이사회 검토 및 승인
Step 1, 2, 3 과정을 통해 도출된 4개의 중대성 주제를 경영진 검토 후 <ESG위원회>에서 결의하고 <이사회>에 보고했습니다.